티스토리 뷰


연일 지진의 공포로 인해,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게다가 경주 지역에는 피해가 심각하다고 하구요.

이번에 겪은 지진의 강도는 사실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아직 겪어보지 못했을텐데요.

그저 역사책에서나 본듯한 내용일 것입니다.




특히나, 고층 아파트에서는 이번 지진으로 많이들 놀라셨을 것입니다.

저 또한 5층에 살고 있는데요.



높은 곳에서 흔들리니 더욱 무섭게 다가오더라구요.

그래서 오늘 준비한 내용이 아파트 내진설계 확인방법입니다.



내진설계라는 것은 지진에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의 내구성 정도를 뜻하는 말인데요.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진 횟수가 적고, 내진설계 비용이 만만치않은 등의 이유로 인해,

시공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도 거의 못느끼고 잘 살고 있었지만, 이번에 지진으로 인해

여실히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전국의 아파트나 주택의 내진설계 대상 비율을 살펴보면

부산 26.3%, 서울 26.7%, 인천 29.3%, 세종 56.1%, 

대구 27.6%, 충남 44.6% 등으로

평균 40%를 넘지못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지어진 고층빌딩, 고층 아파트 등과 중요시설에는 내진 설계가 

확대 적용되었다고 하는데요.







우리집은 어떨지 살펴보겠습니다.


1996년까지는 10만 제곱미터 규모의 건축물만이 내진설계 대상이었지만,

2005년 건축법 시행령 제32조에 따라 3층 이상 1000 제곱미터 이상과 

내진설계 확대로 학교는 면적에 관계없이 전체 내진설계 대상이 되며,

청사 및 기관들은 3층이상 또는 연면적 500 제곱미터 이상이 되면 내진설계 대상입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층수가 3층이상인 건축물,

연면적이 5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높이가 13미터 이상, 처미높이가 9미터 이상인 건축물,

기둥과 기둥사이의 거리가 10미터 이상인 건축물,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 지진구역 안의 건축물



그리고 서울지역은 따로 홈페이지를 만들어 아파트 내진설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었는데요.





자신이 살고 있는 아파트, 주택의 건물 허가일자, 층수 등의 정보를 입력한 후,

내진설계 적용여부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아파트 내진설계 확인 바로가기]


또한, 내진성능 자가점검이라는 메뉴도 있거든요.




알아보고자 하는 건축물의 주소를 넣고 검색을 해보시면 될 듯 합니다.







이외의 다른 도시에서는 아직 이렇다할 정보를 내놓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서울과 같이 자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요.

약간 아쉬운 부분입니다.



이상 아파트 내진설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